본문 바로가기

MyBatis parameter 설정시 #, $ 차이점 mybatis를 사용하다보면 SQL문을 작성할때 전달받은 parameter 변수를 지정해주게 되는데 일반적으로으로 #{변수명} 과 같은 방식으로 작성을 많이 한다. 하지만 mybatis에서는 #{변수명} 이외에도 ${변수명} 방법도 사용할수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변수명} SELECT * FROM TB_member WHERE id = #{id} 위와같이 #{변수명}으로 사용하게 되면 mybatis는 preparedStatement 객체에 자동으로 id를 set 해주게 된다. 즉 SELECT * FROM TB_member WHERE id = ? 형식으로 전환이 되고 자동으로 해당 변수를 set 해준다. 2. ${변수명} SELECT * FROM TB_member WHERE id =.. 더보기
리눅스 특정계정 su 명령에 제한 리눅스 시스템에서 모든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su 명령어를 이용하여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것은 보안상 좋지 못하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su 명령어를 막을수도 없다. 필요에 의해 사용자가 su 명령어를 통해서 root 권한으로 무엇인가를 해야할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럴때에는 특정 계정에 대해서만 su 명령어가 가능하게끔 보안설정을 하면 된다. 일단 리눅스 기본설정에서는 전체 계정에 대하여 su 명령어 사용이 가능하다. 모든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su 명령어 권한을 막은뒤, 특정 계정에 대해서만 su 명령어 권한을 주자. 1. 모든 사용자 계정에 대하여 su 명령어 막기. //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백업파일 생성 [root@tourWeb1 ~]# cp /etc/pam.d/su su2014090.. 더보기
리눅스 로그인 세션 timeout 설정 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하다보면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계정을 생성해주고 해당 계정으로만 운영해야할때가 있다. 이때 보안상 해당 계정 로그인후 일정 시간동안 입력이 없으면 자동으로 타임아웃이 걸리게하여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도록 하는것이 좋다. 타임아웃은 시스템 또는 개인계정의 프로파일에 TMOUT을 명시해 주면 된다. 시스템 전체 적용시 [root@tourWeb1 ~]# vi /etc/profile ... TMOUT=600 ... [root@tourWeb1 ~]# source /etc/profile 개인 계정에만 적용시 해당계정의 .bash_profile 에 동일하게 TMOUT을 명시해 주자. 숫자 입력단위는 초 단위이므로 600 은 600초(10분)을 의미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