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 Base64 암호화, 복호화 방법 컴퓨터 분야에서 쓰이는 Base 64 (베이스 육십사)란 8비트 바이너리 데이터(예를 들어 실행파일이나, ZIP파일 등)를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일련의 스트링으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원래 Base 64를 글자 그대로 번역하여 보면 64진법이란 뜻이다. 특별히 64진법이 컴퓨터에서 흥미로운 것은, 64가 2의 제곱수(64 = 26)이며, 2의 제곱수들에 기반한 진법들 중에서 화면에 표시가 되는 ASCII 문자들을 써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큰 진법이기 때문이다. 즉 다음 제곱수인 128진법에는 128개의 기호가 필요한데 화면에 표시되는 ASCII 문자들은 128개가 되지 않는다. 그런 이유 때문에 이 인코딩은 이메일을 통한 바이너리 .. 더보기
리눅스 디렉토리,디스크 사용량 확인 - du, df 명령어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특정 디렉토리의 용량이 얼마인지, 또는 디스크 전체 사용량이 얼마인지 확인해야 할 때가 있다. 특히 디스크 사용량 같은경우 주기적으로 확인을 해줘야 하는데, 그 이유는 디스크 사용량이 full 이 되면 각종 시스템 장애에 노출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매일 기록되는 로그파일등은 삭제 정책을 정하지 않고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무한정 늘어나 있는 로그파일로 인하여 디스크 full이 생겨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는 용량 확인을 할때에는 해당 디스크나 디렉토리를 선택후 속성 메뉴를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한데, 리눅스같은 경우는 간단한 명령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일단 디렉토리와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가 다르다. 이 부분은 참고하자. 1. 디렉토리 용량 확.. 더보기
[Java] 공휴일 체크하기 - 음력, 양력 지난번에 양력날짜를 음력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였다. 오늘은 음력날짜 변환방법을 토대로 우리나라 공휴일을 체크하는 방법을 설명해 보겠다. 우리나라의 공휴일은 아래와 같이 양력과 음력으로 나누어 진다. 앙력 공휴일 - 신정, 3.1절, 어린이날, 현충일,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크리스마스 음력 공휴일 - 설날(구정) 연휴, 부처님 오신날, 추석 연휴 양력 공휴일은 모두 알다시피 해가 바뀌어도 우리가 일상적으로 얘기하는 양력 날짜에 고정적이며 음력 공휴일은 해마다 양력날짜가 바뀐다. 공휴일 체크하는 로직을 만들때 양력은 일반적인 날짜 체크방법으로 하면 되고 음력은 체크하고자 하는 날짜를 음력으로 변경하여 체크하면 된다. 음력 공휴일도 양력처럼 음력기준으로는 날짜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한번 만들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