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용량 파일 보는 무설치 프로그램 - LTFViewr 1GB 이상 누적된 로그파일이나 CSV 파일 같은 대용량 텍스트 파일은 사실 열어보는것도 쉽지 않다. 텍스트 에디터로 해당 파일을 열려고 하면 프로그램이 뻗어거리는 경우가 많다. 윈도우에서 대용량 텍스트 파일을 보기위해 LTFViewr를 추천한다. 용량도 가볍고 무설치이기 때문에 인스톨 해야 하는 부담도 없다. [다운로드] 로그파일이나 CSV 같은 텍스트 형태의 파일만 가능하니 이부분은 참고하자. 더보기
[JSP] 한글 깨짐 처리방법과 문자 인코딩 웹 개발을 하다보면 GET / POST 방식의 전송시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이제 막 웹 개발을 시작하는 분들의 경우 한글깨짐이 발생하여 굉장히 당황스러워 하는데, 사실 웹 개발자라면 초보시절에 한번쯤은 다들 경험해 봤을것이다. 처음 한번 경험하고 그 이후엔 그 경험을 토대로 더이상 실수하지 않는 그런것 이랄까? 오늘은 JSP / Servlet을 통한 웹 개발시 한글깨짐에 대해 처리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참고로 JSP를 구동시키는 WAS는 톰캣을 이용하였고, 모든 웹페이지의 캐릭터셋은 UTF-8로 개발하였다. 1. POST 전송시 한글깨짐 JSP 페이지 상단에 request.setCharacterEncoding 을 명시한다. 2. GET 전송시 한글깨짐 Tomcat의 server.x.. 더보기
윈도우 Tomcat UTF-8 JVM 설정 개발은 윈도우(로컬PC), 서비스 운영은 리눅스일때 가장 문제가 되는것은 OS 캐릭터셋의 다름에 의한 문제이다. JVM을 구동시키는 캐릭터셋이 다를경우 파일 입출력, 한글 byte 계산등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윈도우의 경우 캐릭터셋으로 MS949를 사용하고, 리눅스는 설치 환경마다 다르지만 요즘 추세대로 UTF-8을 이용한다. 서로 다른 캐릭터셋을 하나로 통일시켜주는것이 오류도 적으니 개발PC의 톰캣 설정을 서버 환경처럼 UTF-8로 맞추자. 캐릭터셋을 맞추는 가장 핵심은 톰캣을 구동시키는 JVM의 파라미터 옵션을 두면 된다.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 파라미터를 옵션해 주가해 주면 된다. -Dfile.encoding=UTF-8 -Dfile.client.encoding=UTF-8 -Dfile.encodin..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