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심볼릭 링크 생성 및 삭제 리눅스 심볼릭 링크는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하여 참조를 하는 특수한 파일이다. 쉽게 생각하면 윈도우에서 우리가 즐겨 사용하는 "바로가기"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다양한 이유로 심볼릭 링크를 사용하는데, 웹 서비스를 주로 하는 나같은 경우에는 NAS 서버의 디렉토리를 /data 쪽으로 마운트 한 뒤 이를 웹 컨텐츠 디렉토리에 심볼릭 링크를 걸어 사용한다. 이럴경우 웹 서버가 수십대라도 사용자가 올리는 업로드 파일이나 컨텐츠 파일등은 NAS 한곳에서 모아서 사용하므로 모든 서버에서 동일한 컨텐츠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심볼릭 링크 생성] ln -s [원본 파일 또는 디렉토리] [심볼릭 링크 이름] [tour@tourWeb ~]$ ln -s ./test ./test22 [tour@to.. 더보기
[Java] 간단한 숫자체크 웹 개발을 할때 form 으로부터 전송받은 값이 숫자인지 체크해야 할 일이 종종 있다. 이럴때는 간단하게 숫자체크하는 메소드를 공통 클래스에 포함시켜 필요할때마다 호출해서 사용하면 편하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숫자체크 방식은 Double.parseDouble 또는 Integer.parseInt를 활용하여 Exception을 통해 숫자여부를 판별한다. 구문상으로는 Exception에 걸린다는것은 잘못된 코드란 소리인데, 이것을 반대로 활용하여 숫자인지 아닌지 가려낸다. 다음은 Exception을 활용한 간단한 숫자체크 방법이다. public class StringNumberCheck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_1 = "가나다라" ; St.. 더보기
[Java] 아스키 코드(ASCII)를 활용한 알파벳 자동증가(A ~ z) 컴퓨터를 만지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었을만한 아스키(ASCII) 코드에 대해서 포스팅합니다. 아스키(ASCII) 코드에 대해서 MS 사이트에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더군요. 컴퓨터의 언어는 숫자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나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컴퓨터에서 문자와 기호가 해당 숫자 표현으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1960년대에 표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아스키로 발음)가 개발되었습니다. ASCII 표에는 128개의 숫자가 해당 문자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ASCII를 통해 컴퓨터 간에 또는 컴퓨터와 프로그램 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교환할 수 있습니다. 아스키(ASCII) 코드는 언어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