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서버 부팅시 Tomcat 자동 실행 리눅스에서 Tomcat을 설치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사실 설치라고 말하기에도 뭐한게, Tomcat 설치시에는 그냥 압축만 풀어주면 되니 따로 설치라고 표현할 것도 없다. 물론 서버 환경과 용도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설정값들을 바꾸기는 하지만, 뭐 그건 설치보다는 튜닝이라고 하는게 맞을듯 하다. 여튼, 리눅스에서 Tomcat을 설치했을때의 문제는 서버 부팅시에 Tomcat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윈도우처럼 자동으로 서비스에 등록되고 실행되면 좋겠지만, 우리의 친절한 리눅스에게 그런거 따위 ... Tomcat을 자동 실행되게 하기 위해선 간단하게 아래와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 실행 스크립트 작성 -> run level 등록 1. 실행 스크립트 작성 [root@tourWeb1 ~]# cd .. 더보기 [DBMS] 간단한 Null 체크 방법 DB에서 어떠한 컬럼의 값이 null인 것을 체크하고 null일경우에 대체값을 넣어주는 방법으로 쿼리를 만들거나 할때 상당히 유용한 함수이다. 프로그램 언어에서 null을 체크한뒤에 특정 값으로 넣어도 되지만, 대체하는 값이 고정되어 있다면 쿼리에서 해당 함수들을 이용하여 코드를 줄이는것이 보기에 좋다. 아래 예제는 DBMS에 따라 함수명만 다를뿐 모두 동일한 결과를 표현하는 내용이다. cnt 컬럼의 값이 null 일 경우 0으로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경우 cnt 값을 출력한다. 공통사용법 : 함수명(체크할 값, null일경우 대체할 값) 1. MySQL - IFNULL SELECT ifnull(cnt, 0) as cnt FROM TB_test ; 2. Oracle - NVL SELECT nvl(cnt, .. 더보기 [DBMS] DML, DDL, DCL 뜻 가끔씩 일을 하다보면 DBA로부터 이런 말을 들을때가 있다."DML은 몇번 서버에서 해주시고, DDL 하실때는 몇번 서버 에서만 해주세요" 위와 같은 말을 들었다면, DML과 DDL을 정확하게 구분해서 업무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MySQL 서버에서 replication으로 기동중이고 master-slave 형식을 하고 있는 DB의 경우slave에 DDL 명령어를 수행하면 아주 피곤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DB에서 데이터를 조작하는 명령어. 즉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SELECT, INSERT, UPDATE, DELETE 등이 해당된다. 2. DDL (Data definition language)DB를 정의하는 명령어. 대표적.. 더보기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