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Apache2, Tomcat 연동 및 로드밸런싱 설정 예전에는 jsp 등과 같은 서블릿를 이용한 웹 서비스를 할때 보통 was 앞단에 httpd 서버를 두고 서비스를 했다. 물론 어디까지내 내 생각이긴 하지만 오래전 우리나라에서는 apache + tomcat, webtoB + jeus 조합이 가장 널이 사용되는 조합이었다. 지금은 톰캣의 성능이 많이 좋아져서, 사실 apache 등과 같은 httpd 를 두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어 xml, json 과 같은 동적 문서만을 서비스하는 경우 굳이 httpd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httpd를 연동 할것인가 아닌가는 서비스의 목적, 시스템 구성에 따라 고려해야 하는게 맞다.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맹신적인 httpd + 서블릿 컨테이너의 조합은 옳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apache와 tomcat을 실제 서.. 더보기
[Java] javax.net.ssl.SSLProtocolException: handshake alert: unrecognized_name URLConnection을 이용하여 SSL이 적용된 웹 사이트를 읽어오는 부분을 작성했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javax.net.ssl.SSLProtocolException: handshake alert: unrecognized_name 해당 오류의 원인은 Java 1.7 bug 라는 내용을 외국 사이트에서 확인 . 사실 bug 라는 말은 맞지 않다. 1.7 부터는 SNI support의 부분이 기본적으로 enable 되어 있다는 것일뿐. 해당 버그를 피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호출하는 class 또는 jsp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System.setProperty("jsse.enableSNIExtension", "false") ; 또는 JAVA_OPTS에 아래 옵션을 준.. 더보기
[Linux] Tomcat 다중으로 설치하기 한 서버내 서로 다른 서비스때문에 톰캣을 분리한다던지, 또는 로드밸런싱을 통산 부하분산을 목적 등으로 Tomcat을 다중으로 설치해야 할 일들이 있다. 오늘은 동일 서버내 tomcat을 다중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설치에 앞서서, 동일 서버에서 tomcat 여러개를 사용하려면 내부 사용하는 port를 미리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해당 서버에서 다른 port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전에 정리해두면 도움이 된다. tomcat 이용시에는 1개의 톰캣에서 보통 3개의 port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tomcat 내부 포트, apache 연동을 위한 ajp 포트, 서비스 포트 이다. 나는 아래와 같이 포트를 지정했다. tomcat_1 tomcat_2 server port (내부) 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