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캐쉬(Cache) 삭제하기 웹 개발을 하다보면 의도하지 브라우저 캐시로 인하여 수정내용이 반영이 되지 않을때가 종종 있다. 이럴때는 해당 페이지를 몇번 새로고침하면 수정된 내용으로 나오긴 하지만, 사실 중요한 부분에서 캐쉬가 남아 의도하지 않은 부분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면 때론 곤란해질수도 있다. 이미지 같은 정적파일들은 캐쉬로 보관되어 있으면 사이트 로딩등이 빨라지는 장점도 있지만, 어떠한 액션이 있어야 하는 중요한 동적 페이지에서는 오히려 잘못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캐쉬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하는 선언은 JSP 등과 같은 서버 사이드 언어나, html에 메타태그를 넣어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 JSP의 경우 페이지 상단에 아래 구문을 넣으면 캐쉬가 적용되지 않는다. - HTML의 경우 아래 구문을 태그 사이에 넣어주면 된다. 더보기 윈도우7 텔넷(Telnet) 설치하기 업무를 하다보면 생각보다 telnet을 많이 이용한다. 대표적으로 원격지 서버에 방화벽이 오픈되어 있나 확인하거나 서비스가 구동중인지 확인할때 사용한다. 그런데 윈도우7에서 커맨드창을 연후 telnet 명령어를 입력하면 telnet이 없다고 나온다. (생각해보니 윈도우2008에도 telnet이 없었던 듯) 기존 윈도우까지는 telnet이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었는데, 윈도우7 부터는 telnet이 빠져있다. 다행히도 윈도우에서 기본 설정을 조금만 건드리면 telnet을 설치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Telnet 설치 1. 윈도우 시작 ->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클릭 2. Windows 기능 사용/사용안함 클릭 3. 열려진 창에서 스크롤을 밑으로 내린후 텔넷 클라이언트 체크 후 확인 참고.. 더보기 [MySQL] 리눅스 설치 오류 신규 서버에 mysql을 소스버전으로 설치하는데 몇가지 오류가 발생하여 정리해 보았다. 1. configure: error: no acceptable C compiler found in $PATH configure 단계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configure: error: no acceptable C compiler found in $PATH 위 오류는 컴파일러가 없거나 설치되어 있으나 인식을 하지 못할때 나는 오류이다. 일단 yum 명령어를 통해 gcc 컴파일러를 설치하자. $ yum -y install gcc 컴파일러가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다시 configure를 실행하면 된다. 2. exec: g++: not found make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 g++ 이 없다는 오류인데,.. 더보기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