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cat 로컬환경에서 세션이 끊길때(JSessionID 충돌) 로컬환경으로 Tomcat을 이용하여 개발하다 보면 종종 세션이 끊길때가 있다. 물론 Tomcat 1개에 1개의 서비스만 올려서 사용중이라면 그럴일은 없겠지만, 여러 프로젝트를 여러개의 서비스에 올려서 개발할경우 종종 로그인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다. 여러개의 서비스 일지라도 1개의 서비스만 집중적으로 개발할 경우 그럴일은 없는데, 하루에 여러 프로젝트를 손대다보면 세션 끊김이 발생한다. 예를들어 로컬에서 개발시 A라는 프로젝트를 로그인을 한 후 B라는 프로젝트를 로그인 하면 A 프로젝트에서 로그인 했던 세션이 끊어진다. 해당 문제는 바로 JSessionID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수 있다. JSessionID는 브라우저에서 로그인등을 통해 세션이나 쿠키등이 생성될경우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갖고있는데,.. 더보기 리눅스 kill 명령어를 통한 프로세스 종료 리눅스에서 특정 문제로 인하여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해야 할때가 있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kill 명령어 이다. kill을 그대로 직영하면 '죽이다' 라는 뜻이 되는데, 말 그대로 프로세스를 죽일때 사용한다. 사실 정확히 이야기 하자면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죽이는것은 아니다. 단지 kill 명령어를 통해 해당 프로세스에 특정 시그널을 보낸다고 하는게 맞다. kill 명령어와 함게 옵션을 지정할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9 옵션을 많이 사용한다. 시그널 옵션중에 9는 프로세스 종료이다. 다음은 process명이 svnserve인 프로세서의 PID를 확인한 후에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예제이다. // 프로세스명이 svnserve인 항목의 PID 확인 # ps -ef | grep svnserve .. 더보기 Tomcat 강제종료 일반적으로 톰캣을 구동하고 종료하는 명령어는 $TOMCAT_HOME/bin/ 에 있는 startup.sh 와 shutdown.sh 이다. 그런데 리눅스 서버에서 톰캣을 운영하다 보면 종종 어이없는 일이 발생을 한다. 그중에 하나가 shutdown.sh 명령을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톰캣이 죽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때가 있다. 물론 이 경우 리눅스에서 PID를 확인 한 후에 kill -9 명령어를 통해 톰캣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는 있으나 매번 이렇게 종료시키에는 귀찮음이 따른다. 이럴때는 CATALINA_PID를 이용하여 shutdown.sh에 force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CATALINA_PID를 지정하게 되면 톰캣이 구동될때 프로세스ID를 해당 파일에 기록하게 되며, shutdown시 해당 PID를.. 더보기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