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VN 저장소(repository) 생성 지난 포스팅에서는 CentOS에서 yum을 통해 SVN 패키지를 설치하는것을 포스팅 하였다. 오늘은 SVN을 실질적으로 사용하기위해 저장소를 생성하는 방버에 대해 알아보자. 1. 저장소(Repository) 생성 // SVN home 디렉토리 이동 # cd /home/svn // 저장소 생성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testRepo 파일시스템형식의 저장소를 생성하는데 이름은 testRepo로 지정하였다. 2. svnserve.conf 수정하기 저장소를 생성하였다면 지정한 저장소 이름으로 디렉토리가 생성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경로로 이동하여 svn 설정파일을 수정하자. // 설정파일 경로로 이동 # cd /home/svn/testRepo/conf # vi svnse.. 더보기 [Java] 주기적인 실행(ScheduledThreadPoolExecutor) 기존 포스팅에서 프로그램의 일시정지라고 할수 있는 스레드 sleep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다. 당시 sleep을 잘 이용하면 while 문과 같은 반복문을 통해 스케줄링 처럼 주기적으로 특정 로직을 실행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해당 포스팅 끝에서도 밝혔듯이 사실 sleep과 while을 이용한 반복적인 작업은 사실 맞지 않다. 해상 프로세스를 계속 실행시켜둔 상태에서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일을 할때에는 오히려 Timer 등을 이용하는게 좋은데, 오늘은 Timer가 아닌 ScheduledThreadPoolExecutor를 이용하여 특정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인 로직을 처리해 보자. ScheduledThreadPoolExecutor는 ThreadPoolExecutor라는 이름에서 보이듯이 병렬처리를 위한 스레드 .. 더보기 [CentOS] SVN 설치 및 부팅시 SVN 데몬 자동실행 내가 일하는 곳에서는 SVN을 통한 소스 이력관리를 하고 있다. 소스 이력관리를 하게 될때 좋은점은 이전 파일을 롤백한다던지, 문제가 발생했을때 history를 추적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오늘은 CentOS에서 Subversion(svn)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svn 패키지는 yum에서 이미 제공하고 있다. 특별한 이유로 소스를 컴파일하여 설치할게 아니라면 yum을 이용하여 설치하는것을 추천한다. 1. SVN 패키지 설치 // yum을 통한 svn 설치 # yum install subversion // svn base 디렉토리 생성 # mkdir /home/svn // svn 데몬 실행 # svnserve -d -r /home/svn 2. SVN 방화벽 설정 svn을 apache 등과 같은.. 더보기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72 다음